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웹 표준과 웹 접근성

by 🔧🔨🛠 블로그 이전 준비 중입니다 🔧🔨🛠 2023. 2. 1.

회사의 제품소개 페이지를 보니 가장 많이 반복되는 단어가 바로 웹 표준이었다.

웹개발을 처음 배울 초반에 다른 블로그에 웹표준과 웹 접근성에 대해 기록 및 정리한 경험이 있는데,

기억이 잘 나질 않아 다시 찾아 보았다. 

 

웹 접근성과 웹 표준 (tistory.com)

 

웹 접근성과 웹 표준

* HTML과 CSS를 활용한 본격적 프로젝트 진행에 앞서, 웹 개발자라면 필수적으로 알아두어야 할 웹 접근성과 웹표준에 대해 다시한번 숙지하고 넘어가고자 관련 내용을 서치 후 정리해 보았습니다

fewd-hub.tistory.com

 

과거의 나는 뭐 이렇게 열심히 정리를 했는지,,

그래도 덕분에 도움을 받았다. 땡큐!


웹 표준

사용자가 어떤 브라우저나 기기를 사용하더라도 내용을 동일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웹 표준이다. 
표준화 단체인 W3C가 권고한 표준안에 따라 웹사이트를 작성할 때 이용하는 HTML, CSS, JavaScript 등에 대한 규정이 담겨 있다.
국내 웹은 특정 브라우저(IE)와 사용자 등의 이용환경, 비표준 페이지, 과도한 플러그인 사용으로 모든 사용자들에게 운영체제 및 웹 브라우저 등의 정보접근 제약이 있다. 따라서 브라우저의 종류나 버전에 상관없이 모든 사용자들이 동일한 웹사이트를 볼 수 있도록 웹 표준기술 작업이 필요하며, 웹 표준 준수는 웹 접근성 준수를 위한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웹 접근성이 더 큰 개념이며, 웹 표준은 웹 접근성을 구현하기 위한 부분적 요소다)

웹 표준으로 얻는 이득이 뭐길래?

1) CSS와 HTML이 분리되어 유지보수에 들어가는 시간이 단축되고, 불필요한 마크업이 최소화되어 페이지 로딩속도가 향상된다.
2) 오래된 브라우저에서도 컨텐츠가 적절하게 표시되고 호환성과 운용성이 확보된다.
3) 논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작성된 웹 문서는 코드의 양이 줄어 파일 크기가 줄고 서버부담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4) 스크린리더기 등 보조공학 기기 사용자들이 조금 더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돕는다.

웹 표준의 기술

1) XHTML ( eXtensible Hypertext Markup Language )
2) CSS (Cascading Style Sheets)
3)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4) DOM(Document Object Model)
5) ECMAScript

가이드라인 참조